-
경기종합지수란? 경상수지란?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나의 경제 공부기 2021. 11. 19. 23:40반응형
31. 경기종합지수
개별 경제지표들을 가공 및 합성하여 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수가 경기종합지수(CI)이다. 여기서 가공과 합성이란,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을 제거하고, 진폭의 표준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후 합산하는 것을 말한다. 경기종합지수의 변동 방향으로 경기변동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고, 경기종합지수의 변동 폭으로 경기변동의 크기를 알 수 있다. 경기장합지수는 경기에 대한 선행 후행 관계에 따라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로 구분한다. -선행종합지수: 가까운 장래의 경기 동향 예측하는 데 활용. -동행종합지수: 현재의 경기상태를 판단하는데 활용. -후행종합지수: 경기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데 활용.
32. 경상수지
경상거래(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입과 지출을 말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이 항목들은 금융계정 구성항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된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제발전 및 정책변화 효과 측정 혹은 전망에 널리 이용된다.
*금융계정 구성항목: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투자 및 준비자산으로 구성됨.
**국제수지표: 일정기간 동안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발생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표로서 국내 경제동향 분석은 물론 대외거래의 국제비교나 외화유동성 등을 파악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게 이용되는 통계. 국제수지표는 크게 경상수지, 자본수지, 금융계정 및 오차 및 누락으로 구성됨.
33.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
현장을 직접 들러 검사하는 임점 검사 시, 금융기관의 경영실태 전반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의 목적은 경영상태를 등급 평가하고 시정방안을 제시하여 평가 결과에 따라 감독 및 검사 업무를 차등화하여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하고자하는데 있다. <3가지 평가방식> 1) CAMEL-R 시스템: 은행 본점 및 현지법인에 대해서, 자본 적정성(C), 자산 건전성(A), 경영관리 적정성(M), 수익성(E), 유동성(L), 리스크관리(R) 6개 부문[CAMEL-R]으로 평가. 2) ROCA 시스템: 외은지점 및 국내은행 국외지점에 대해서, 리스크관리(R), 경영관리 및 내부통제(O), 법규준수(C), 자산 건정성(A) 등 4개 부문[ROCA]으로 평가. 3) CACREL 시스템: 특수은행에 대해서, 자본 적정성(C), 자산 건전성(A), 법규준수(C), 위험관리(R), 수익성(E), 유동성(L) 6개 부문[CACREL]으로 평가.
*임점: 가게, 점포, 사무실 등의 현장을 들러서 직접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줄여서 임검(臨檢) 이라고도 한다.
반응형'나의 경제 공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심리지수(ESI)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란?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참가율이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19 경영지도비율이란? 경영평가지표란? 경제성장률이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19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란? 경기순응성이란?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이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19 결제완결성이란? 겸업주의/전업주의란? 경기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19 결제(settlement)란? 결제리스크란? 결제부족자금 공동분담제(loss-sharing) [혹은 '손실공동분담제']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