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급사용표(SUT)란? 공급탄력성(공곱의 가격탄력성)이란? 공매도(Short selling)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나의 경제 공부기 2021. 11. 27. 10:54반응형
58. 공급사용표(SUT)
산업연관표는 아래에 두 가지로 구성된다.
1) 투입산출표: 상품을 기준으로 생산내역을 나타낸 표를 뜻함. 하나의 산업에서 한 상품만을 생산한다고 가정하고 있어 경제 현실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
2) 공급사용표: 산업을 기준으로 생산내역을 나타낸 표를 뜻함. 경제 현실이 잘 반영되며, 국민소득통계, 국민대차대조표 등 국민경제 통계들 간 정합성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 공급사용표는 다시 아래의 두가지로 구성된다.
*정합성: 이론의 내부에 모순이 없는 것. 무(無)모순성.
-공급표: 산업별 상품의 생산구조를 알려준다.
-사용표: 중간재, 부가가치 기록하는 세로 방향, 공급상품이 중간수요 또는 최종수요로 사용된 내역을 나타낸 가로 방향.
59. 공급탄력성(공곱의 가격탄력성)
가격이 올라갔을 때, 공급자가 얼마나 공급량을 늘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가격변화에 대한 공금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누어 측정함.
공급탄력성= (공급량 변화율) / (가격 변화율)
가격 상승만큼 공급량이 상승하지 않으면 공급이 비탄력적이며, 상응하게 증가하면 공급이 탄력적이라고 본다.
어떤 재호의 공급량의 변화율이 가격변동과 같다면 공급탄력성이 '1', 즉 '단위 탄력적'이라고 한다.
어떤 재화의 공급량이 가격변동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공급탄력성이 '0', 즉 '완전 비탄력적'이라고 한다.반대로 어떤 재화의 특정 가격변동율에만 공급량이 생기면, 공급 탄령성이 '무한대'이며, '완전 탄력적'이라고 한다.
공급탄력성은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하는 생산자의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60. 공매도(Short selling)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란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주식을 "빌려" 먼저 매도한 후, 주가가 하락하면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하여 되갚은 후 차익을 얻는 투자'를 말한다. 주가가 하락할 경우 수익을 얻지만, 예상과 달리 상승할 경우 큰 손실을 볼 수 있어 신중히 접근해야한다.
예시: A주식을 빌려 주당 10,000원에 팔고 며칠 후 주식이 5,000원으로 하락하였다면, 주식을 매입하여 빌린 A주식을 되갚으면 주당 5,000원의 수익을 얻는다.
분위기에 편승해 공매도에 쓸리게 될 경우 폭락하여 주식시장의 변동성 확대의 위험이 있어 각국에서는 공매도에 대한 규제를 많이 거는 편이다. 한국 또한 2008년 9월 금융위기 직후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 모든 종류의 공매도를 금지시킨 적이 있다.반응형'나의 경제 공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환성 통화란? 국제통화기금(IMF)이란? 특별인출권(SDR)이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29 관리변동환율제도란? 관리통화제도란?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27 골디락스 경제란?공개시장운영이란? 공공재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25 고정자본소모란? 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란? 고통지수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25 고정금리부채권(SB)이란? 고정분류여신이란? 고정이하여신비율이란? [경제 금융 용어 공부하기] (0) 2021.11.24